Study All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tudy All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2)
    • 여행정보 (5)
    • 카메라공부 (4)
    • 프로그래밍 (25)
    • 재태크 (31)
    • 자동차 (3)
    • 보고느낀것 (2)

검색 레이어

Study All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동산

  • 투자일기 : : 집 살때 들어가는 비용 총 정리

    2021.10.30 by 스터디올

  • 투자일기 : : LTV 용어 알아보기

    2021.10.25 by 스터디올

  • 투자일기 : : DSR규제가 적용 되면 어떻게 될까?

    2021.10.23 by 스터디올

  • <재태크> : : 건폐율, 용적율 무엇인지? (부동산 공부 시작!)

    2020.03.09 by 스터디올

투자일기 : : 집 살때 들어가는 비용 총 정리

아파트 구입시 들어가는 돈 알고 있자 아파트를 사고 안사고는 본인의 자유이지만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물론 돈을 모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준비겠지만 지금 당장 할 수 있지 않기에 다른 부분들을 알아보려 한다. 크게 아파트를 구입시 들어가는 돈은 3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1. 집값 2. 세금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3. 부동산 중개 비용 1. 집값 당연한 이야기다. 집값이 필요하겠다. 실제 부동산 어플에 올라와 있는 호가가 그 가격에 해당 되겠다. 대출이 가능한 금액은 내가 원하는 지역에선 LTV 40% 이니까 각각 자금상황과 미래의 자금 여력을 생각해 주택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 해당 LTV관련한 것은 호갱노노에서 아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앱에서 내가 ..

재태크 2021. 10. 30. 23:31

투자일기 : : LTV 용어 알아보기

핫한 부동산 시장, 용어부터 제대로 알자 (LTV) 부동산 시장이 핫하다. 안다 회사에서도 친구들을 만나서도 가장 핫한 주제는 부동산이다. 집값이 떨어지든 올라가든 그것은 모르겠지만 제대로 알고 있어야 대응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지난번 글부터 하나씩 공부하고 있다. 오늘은 LTV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당연히 나는 글의 뜻만을 알려는 것이 아니라 해당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나에게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실질적으로 이해해보려 한다. LTV는 (loan to value ratio)은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즉 백과사전을 그대로 해석한다면 6억짜리 주택을 LTV 60%한도로 대출을 한다면 6 x 0.6 = 3.6억을 대출할 수 있..

재태크 2021. 10. 25. 22:06

투자일기 : : DSR규제가 적용 되면 어떻게 될까?

대출 대출 대출때문에 요즘 시끌시끌하다. 나도 당장은 아니지만 대출이 필요한 사람이긴 한다. 그래서 뉴스에서 그렇게 나오는 DSR적용이 과연 무엇인지 조금 알아보고 기록해 두려 한다. 1. DSR(Debt Service Ratio)이 무엇인가? 검색에는 네이버지... 네이버 지식백과를 보면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연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라고 명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가 1억을 10년동안 빌렸다고 가정했을 때 1년에 갚아야될 원리금은 1000만원이 된다. 그렇게 되면 DSR 비율은 1000만원 / 연간소득이 되는 것이다. 연소득이 50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DSR비율이 20%가 되는 것이다. 사전..

재태크 2021. 10. 23. 10:34

<재태크> : : 건폐율, 용적율 무엇인지? (부동산 공부 시작!)

각자 재태크하면 생각나는게 무엇인가? 주식, 펀드, 적금, 예금 ... 부동산! 부동산이 현재 가장 뜨거운 재태크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성공적인 재태크를 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오늘은 부동산 관련 기사 또는 글을 볼 때 자주 등장하는 건폐율, 용적율 용어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한다. 건폐율이란? 건폐율이란 건물의 바닥면적이 토지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예를들어 이야기를 해보자 1000㎡의 땅에 그 위에 600㎡의 면적을 갖는 건물을 지으면 해당 토지의 건폐율은 60%가 된다. 건폐율 = (건물 단면의 면적) / (토지의 총 면적) * 100 % 그렇다면 건폐율이 높으면 높을 수록 좋은가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물론 건폐율이 높으면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쓸 수 있..

재태크 2020. 3. 9. 20: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Study All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